폴리머 유산(PLA)을 기재로한 식품의 항균 포장
- 전문가 제언
-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식품포장 재료는 석유화학으로 만들어진 합성 폴리머로서 장기간 분해되어지지 않아서 환경을 파괴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식품 포장재료 로서의 기능을 가지면서 단기간에 분해될 수 있고, 항균성이 있는 생분해성, 생복합성 폴리머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 PLA에 첨가되는 항균제 중에서 특히 니신, 리소짐, 비석 은의 경우에는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ysodeikticus 와 같은 식중독 균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 마이크로캡슐화(microcapsulation) 방법은 PLA 포장 대에 식품을 넣고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할 때, 휘발성 또는 열 민감성 물질의 손실과 손상을 방지하여준다. 그러나 단점은 생산비가 많이 들어서 분무 총을 이용한 도포법이나 확산 도포법이 활용된다.
○ 현재 개발된 항균성 PLA는 다음과 같은 식중독 관련 미생물의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대상은 E .coli, O157:H7, S. aureus, Sallmonella, L. monocytigenes, Fusarium proliferatim, Botrytis cinerea, E. moniliforme, Aspergillus ochraceus, 효모, 곰팡이 등이다.
○ 국내에서도 오래전부터 식품업계나 관련 연구기관에서 친환경적이며, 항균성을 가진 식품 포장재의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세계적인 추세로서, 앞으로는 항균성을 가진 생분해성 바이오 필름이 석유화학으로 만들어진 합성 고분자 플라스틱 필름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어 식품업계에서는 이전보다 더 많은 관심을 기울려야 할 것 으로 본다.
- 저자
- Intan S. M. A. Tawakkal, Marlene J. Cran, Joseph Miltz, and Stephen W. Bigg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79(8)
- 잡지명
- Journal of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77~1490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