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토착 담배가루이
- 전문가 제언
-
○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는 적어도 36개로 추정되는 신비한 종의 복합개체군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이전에는 B 생물계통으로 알려진 MEAM1(Middle East-Asia Minor 1)종이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을 대부분 점유하였고 일부 지역만 담배가루이 토착 개체군으로 대체되었다.
○ mtCOI 유전자 분석을 기반으로 미주지역에서는 NW(New World)와 NW2(New World 2) 2종이 토착종으로 확인되었다. NW 종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마르티니크섬, 텍사스, 베네수엘라에 서식하고 있으며, NW2 종은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및 브라질에 서식하고 있다.
○ 토마토, 콩, 목화와 같은 주요작물처럼 야생식물 Euphorbia sp.와 Ipomoea sp. 역시 미주지역 토착 담배가루이의 숙주식물로 확인되었으며, MEAM1 종은 아직까지 미주지역 토착종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고 토착개체군이 지속적으로 이들 숙주식물에서 확인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담배가루이는 1998년 5월 1일 충북 진천의 시설재배 장미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며, 발견당시 진천의 장미 시설재배단지내의 17농가 중 4농가 3,450평에서 발생하였고 평균 발생밀도는 장미 소엽당 3~10마리로서 일부포장에서는 피해에 의한 그을음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 최근의 국내 동향을 보면 참외에서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담배가루이에서 분리한 곤충병원성진균의 동정 및 병원성 검정, 토마토 온실에서 방충망 설치에 의한 담배가루이 피해 경감,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pyrifluquinazon의 살충 및 행동장애 등 다수의 학술자료가 발표되어 국내에서도 이들 해충에 대한 방제대책이 수행되고 있으나 주로 온실가루이용 살충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L. da F Barbos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40~1445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