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 처리에 의한 물속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제거
- 전문가 제언
-
○ 생분해(biodegradation)되기 어려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화학적 처리방법들이 연구되었으나 아직 실험실적 수준의 제거율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앞으로 처리공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분해산물의 독성, 분해반응 메커니즘, 운용조건의 최적화, 반응기의 설계 등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 폐수처리 비용측면에서 화학적 처리 단독 공정보다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병용하는 방향으로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림직하나, 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를 조합한 PAHs 제거공정에 대한 연구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앞으로 국내에서 이러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면 실험실적 연구단계에서부터 조합공정의 설계에 초점을 맞추거나 제거효율이 우수한 고급 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주제로 바람직하다.
○ 국내에서 대기, 토양, 폐수슬러지, 식품 등에 존재하는 PAHs의 함량분석에 관한 연구사례들이 있으나 물속의 PAHs 제거를 위한 연구사례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주요 산업단지의 폐수를 대상으로 PAHs를 비롯한 난분해성 물질의 오염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제거효율, 처리비용, 운용 편의성 등이 고려된 처리공정 개발을 목표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PAHs의 인체유해성과 난분해성으로 인해 미국, 유럽 등에서 PAHs의 환경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국내에서도 식품 및 환경의 PAHs 오염실태 분석과 인체독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식품, 수질, 대기, 음용수의 오염허용기준에 인체유해성이 높은 PAHs들을 추가시키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 또한 PAHs는 주로 유기물질의 불완전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므로 이들의 발생이 우려되는 소각시설이나 산업 활동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여 오염원을 최소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Ainhoa Rubio-Clemente,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478()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1~225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