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재생에너지 개발의 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영향
- 전문가 제언
-
○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해서 지칭하는 용어로 수소,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 등 3종의 신에너지와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풍력, 수력, 지열, 해양, 폐기물 등 8종의 재생에너지가 포함되어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를 위한 미래에너지원을 그 특성으로 하며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로 평가받고 있고 기후변화협약 등으로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고, 차세대 가장 중요한 성장동력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된 이후 1997년 국가별 배출량을 할당하는 교토의정서에 이어 2010년 멕시코 칸쿤(Cancun)에서 지구의 평균온도를 산업혁명 이전 대비 섭씨 2도 이하로 안정화하자는 2009년 코펜하겐합의를 각국이 확약한 이후 2013년 바르샤바회의에서는 2015년 파리회의까지 세계 모든 나라가 참여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합의하자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 중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그에 따른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강력한 화석연료 규제 정책을 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의 대기오염의 주범은 석탄 발전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최근 에너지 정책을 획기적으로 바꿔 나가고 있다.
○ 중국은 2020년까지 탄소 배출강도(carbon intensity)를 2005년 대비 40~45% 줄인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 중국은 11차 5개년 계획 기간(2006~2010년)에 이미 85GW 용량의 석탄발전소를 폐쇄했고 2015년까지 에너지 총소비량을 연간 40억 TCE(석탄환산 톤)로 제한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 기후변화는 지구를 살린다는 당위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들의 흥망을 결정하는 경제적 열쇠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에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지만 탄소 제약 시대는 이미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다. 우리 기업은 시대의 흐름을 회피하거나 거역하기보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향적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Tianyu Qi, Xiliang Zhang, Valerie J. Karplu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6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0~69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