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세트산의 생리기능성

전문가 제언

아세트산은 공복시 지방산에서 β 산화에 의해 생성된 내인성 성분으로 골격근 등에서 생체연료로 이용되며 외인성으로 아세트산을 섭취하면 쉽게 혈중 이행으로 조직에 빠르게 흡수되고 대사과정에서 AMP 생성으로 세포 내 AMP/ATP비 증가로 AMP-kinase를 활성화 시킨다. 2형 당뇨병 동물에는 아세트산 섭취로 비만 억제와 내당 능 개선이 된다. 간장에서는 지방산합성 억제작용과 에너지 소비 비율의 증가 백색지방과 갈색지방 조직의 지방적 비대화의 억제와 섭식 시에 지방합성의 억제에 의한 비만의 억제와 비만에 의한 2형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간의 체내에는 공복시에는 체지방분해가 활발하며 만복 시에는 지방합성이 활발히 일어난다. 식사나 음료 등 외적 요인에 의해 섭취된 아세트산에는 잉여 체지방의 축적이 억제되고 지방간의 억제, 내당 능의 개선, 골격근에서 지방대사 촉진작용이 있다. 아세트산 섭취는 지방합성의 저하와 내장지방 축적의 저하, 항비만 효과 등이 있으며 내당 능의 개선으로 2형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 이 등은 “으름 열매 식초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에서 으름열매 식초로 ABT?+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환원력 향상 등을 발표하였으며, 이 등은 “감귤미숙과 식초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에서 감귤 미숙과 식초가 높은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치가 높은 것을 제시한 바 있으나 생체 내 에서의 대사메커니즘이나, 동물시험에 의한 효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아세트산은 생체에 대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조미용도에서 발전하여 식초 음료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뿐 아니라 건강식품으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비만 억제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임이 밝혀지면서 건강식품에의 기여도는 더욱 높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저자
Hiromi Yamash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7(4)
잡지명
日本榮養食糧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71~176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