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안전의 미래에 대한 지구과학자의 역할

전문가 제언

이 문헌에서는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건설에서 지구과학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필자들은 2011년에 발생된 Fukushima1원자력발전소가 이전에 발생되었던 Three Mile Island원자력발전소나 Chernobyl원자력발전소와 달리 자연재해 즉 지진과 이로 인한 쓰나미(지진해일)에 의한 점이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전에서 지각운동의 발생으로 인한 Fukushima1원자력발전소의 사고를 사례로 들어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에 지구과학을 접목시킬 것을 권고하였다.

 

Fukushima1원전이 위치한 부지는 일본 Honshu의 태평양 연안 동북쪽 Fukushima현에 위치하여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파도로 연안이 침식되어 부지가 연안에서 바로 30m의 표고를 이루고 있다. 분석자가 19701월에 건설현장을 방문하였을 때 제1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건설이 거의 완료단계였으며 냉각수의 순환에 편리하도록 부지를 낮게 조성하였다. 무엇보다도 그때까지의 역사적 지진과 최대 쓰나미의 높이를 낮게 평가한 것이 잘못이었다.

 

Fukushima원자력발전소는 미국의 GE가 건설한 비등수형원자력발전소(BWR: Boiling Water Reactor)GE 일괄수주(Turn key)방식으로 건설되었으나, 지진강도와 쓰나미의 최대 높이는 일본의 자료를 반영한 발전소로 건설되었다.

 

Fukushima원전사고로 우리나라에서도 지진 및 쓰나미에 대한 안전성평가를 다시 하였으나 우리나라는 일본과 같은 강진이 발생할 확률이 적고 최대 쓰나미의 높이가 3m이내임을 다시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모든 원전의 비상 디젤발전기의 위치가 부지보다 5m이상 높은 건물 안에 위치하여 외부전원상실과 높은 해일이 내습하여도 원자로 냉각에 필요한 전원의 확보를 염려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안전여유를 위하여 해안에 방조제를 쌓아 거대한 해일에도 대비하게 하였다.

저자
Qiang Wang,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4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39~243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