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처리 시퀀스를 이용한 작은 분자의 유전체 표적을 알아내는 일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작은 분자와 유전체 간의 상호작용은 단순한 통계학적인 현상이 아니고 DNA 시퀀스와 크로마틴의 상태에 따른 역동적인 작용과 반작용에 영향을 받는 기능적인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는 근거가 제시되고 있다. 크로마틴은 히스톤 단백질에 DNA를 감아 기본 단위의 크로마틴을 구성하고 염색체와 뉴클레오솜(nucleosome)의 치밀한 고차원의 구조를 이루고 있어 이러한 작용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DNA를 싸고 있는 단백질이 DNA 주형을 이루고 전사와 복재 과정에서 작은 분자가 유전체에 접근할 수 있게 조절한다. 크로마틴 DNA 부위에서 화학적으로는 변형된 핵의 염기로써 5-methylcytosine (5mC), 5-hydroxymethylcytosine (5hmC) 그리고 5-hydroxymethylcytosine (5hmC)이 내포되어 유전체의 특정부위 유전자 전사를 조절한다.

 

작은 분자에 기초한 DNA표적 분리는 유전체-전체를 통해 작은 분자와의 친화성을 포착해서 시퀀스를 포함한 해독을 할 수 있다. 이런한 전략은 특정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지 않고도 유전체-전체와 크로마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inases, demethylases, methyltransferases와 같은 경우 유전체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효과적인 mapping 위치를 볼 수 있다.

 

이미 승인을 받았거나 혹은 새로운 암 치료에 적용되는 작은 분자들이 DNA와 크로마틴 단백질 복합체를 표적으로 유전체에서 작용하고 있다. 작은 분자에 대한 유전체-전체 지도를 수립하는 것은 약물에 대한 방응과 그 특성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크로마틴 면역침전과 시쿤스(ChIP-seq) 그리고 화학친화성 포착DNA 시퀀스(Chem-seq)와 같은 고처리 시퀀스 전략으로 유전체-전체에서 작은 분자표적의 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음을 보여준다. 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작은 분자들은 생물학적 기능의 모든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며 DNA와 크로마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유전체와 후생유전체 기능과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저자
Rapheal Rodriguez and Kyle M. Mill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5()
잡지명
Nature Reviews Gene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83~796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