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에 있어서 혁신노력과 기업성과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혁신은 현대 기업의 생존에 필수적이고 사회경제적 변화를 유발하는 주요 활동이다. 본 논문은 “브라질에 있어서 혁신노력과 기업성과”를 주제로 하여 서론, 이론적 배경, 방법, 연구결과와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라질의 공공 및 민간기업의 많은 샘플에 토대하고 브라질의 혁신정보와 재무정보를 상호참조하는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브라질에 있어서 혁신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 혁신노력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분석에서는 인적자본, 혁신노력, 관계적 자본, 기업성과가 조사되었다. 인적자본에는 박사학위자, 석사학위자, 대학생, 기술자, 연구개발(R&D) 종사자가 포함되고, 기업성과에는 총자산수익, 매출수익, 자기자본이익, 영업수입이 포함되는데, 혁신이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발견된다. 그러나 기업의 혁신노력과 연결되는 혁신투자 관련 변수들은 재무성과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제시되고 있다.
○ 오늘날 세계화, 다변화 경쟁 속에서 R&D를 통한 기술혁신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쟁 우위의 핵심역량으로 인식됨에 따라 세계각국에서는 기술혁신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주요국에서는 혁신이 R&D과정을 통한 과학기술발전의 결과로 여겨지면서 높은 R&D집약도(강도)를 보이는 기업일수록 탁월한 기업성과를 향유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혁신창출을 위해 R&D활동이 강화되어 왔고 R&D투자가 확대되어 최근에 55조 4,500억원에 이르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에 대한 국내 연구들도 수행되어 일반적으로 R&D집약도(강도)와 혁신노력이 커질수록 기업성과가 향상된다고 제시되고 있다. 앞으로 기업의 기술혁신을 증대시켜 기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R&D뿐 아니라 인력, 금융, 산학연협력체계 등 관련 정책을 폭넓게 연계한 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David Ferreira Lopes Santo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67()
- 잡지명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27~535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