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와 폐수 슬러지 중 Carbamazepine 약물의 분석과 고도산화처리
- 전문가 제언
-
○ carbamazepine과 같은 의약물질은 앞으로 국내에서도 오염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환경시료중 이들의 정량분석에 필요한 화학분석기법을 발전시키고 고급 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과 같은 수 처리기술의 제거효율과 경제성 제고에 본 논문이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고급 산화공정은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제거 효율이 높지만 유해한 분해산물들이 생성될 수 있고 처리비용이 높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특히 오존산화법은 브롬산 염(bromate)과 같은 맹독성 화합물들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흡착법(adsorption)이나 막 여과법(membrane filtration) 등과 같은 다른 수 처리방법과 고급 산화공정을 혼용하여 이러한 단점들을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 국내 하천에서 ng/ℓ수준의 carbamazepine이 검출된 사례가 있으며, 고체상 추출법(solid phase extraction)과 LC/MS를 사용한 정량분석, 오존산화법과 활성탄 흡착법에 의한 의약물질의 제거 연구사례가 있으나, carbamazepine을 비롯한 의약물질의 환경오염 실태분석과 처리기술 연구사례는 매우 빈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의약물질들은 일반 하수처리장에서 제거되기 어려운 난분해성 물질들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국내의 물 환경과 토양에서도 잔류농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에서 잔류농도가 낮게 검출되고 있을지라도 주요하천과 상수원을 대상으로 주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의약물질과 그 대사산물들(metabolites)의 오염실태가 파악되어야 한다.
○ 특히 인간과 동물에 투여되는 의약물질과 그 대사산물들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물이나 토양에서 이들의 물리화학적 거동과 생태계에 미치는 급성 및 만성 독성효과에 큰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우선 국내에서 오염수준이 높고 독성이 높은 의약물질들을 선별하여 이들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D.P. Mohapatr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470()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8~75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