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ED조명의 보급상황과 앞으로의 전망

전문가 제언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에너지절감과 환경을 고려한 정책의 하나로 LED 조명보급 확대가 국가의 에너지정책추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문헌은 일본의 LED조명보급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소개한 내용이다.

 

일본은 1996년에 백색LED로 시작이 되었고 2009년 이후부터 LED조명의 제품개발과 기술개발의 진전이 활발해 젓다. 그 후 20113월의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전력수급의 핍박으로 LED조명의 보급이 가속화되었으며 현재는 고 와트를 필요로 하는 옥외분야에서도 도로조명이나 투광램프 등의 고출력HID램프로부터 LED로의 대치가 진전되는 등, 종래에 채용하지 않았던 분야에서도 LED조명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일본의 일반조명용LED조명기구의 국내출하금액의 추이를 보면 각 기업의 LED기술개발과 제품개발 및 품종에 의한 기여가 크게 영향을 주어서 2012년도엔 전년대비 92.7%가 증가한 3,048, 2013년도 예상액은 전년도대비 32.2%가 증가한 약4,030억에 달하고 있다.

 

일본은 이와 같은 LED조명보급 확대와 병행하여 새로운 광 환경”, 예를 들면 LED조명을 활용한 주거생활에서의 다 등 분산조명방식의 보급, 사무실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Task and Ambient조명기구의 개발, 가시광통신이나 가정 내의 직류/교류하이브리드 배선대응기구 등, LED조명의 특징을 활용한 새로운 용도개발과 함께 반도체조명(SSL)의 또 하나의 기술인 유기EL조명의 기술개발과 제품화가 동시에 추진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LED조명시장도 한 과련 업체의 시장조사에 의하면 2013년의 20조원 규모에서 올해 27조원, 201643조원으로 연평균 36%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수출도 2009년에 1.4조원에서 2012년엔 5.6조원으로 급증했. 그러나 앞으로 LED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원가 및 기술경쟁력 이외에 개별 시장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및 사업전략과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A MOL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66(5)
잡지명
省エネルギ―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1~36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