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의 비구조적 회복을 목표로 하는 자기치유 고분자 물질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 및 고분자 복합재료의 자기치유는 1990년 초에 처음 개념이 정립될 때에는 파손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자동적인 회복 과정을 지칭했지만, 최근에는 실질적인 관점에서 더욱 효용성이 클 수가 있는 전기적, 광학적, 물리화학적 특성과 같은 기능성 회복의 영역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학, 연구기관, 그리고 업체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미래형 청정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 연구 분야의 하나이다.
○ 그 동안의 많은 노력의 결과로 현재 다양한 자기치유기능성 코팅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만, 가격 등의 문제로 자동차나 휴대용 전자기기 외장의 스크래치를 자기치유 할 수 있는 코팅 기술만이 실용화되어 있는 정도이고, 금속의 환경친화적 부식방지 코팅에의 자기치유 기술의 접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조만간 본격적인 실용화가 이루어지리라고 본다.
○ 현재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기술 개발 분야로는 의료용 임플란트 소재 및 로봇의 인공 피부 소재에의 자기치유 기술의 접목을 들 수 있으며,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초발 수 직물 제조용 초발 수 코팅 및 오염방지 해양 도료의 개발이 가까운 장래에 실용화될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 보인다.
○ 현재 자기치유 스크래치 방지용 코팅 원료 생산 회사로는 AkzoNobel, Bayer, Natco, Advanced Softmaterial, Suprapolix, 그리고 Autonomic Materials 사가 있고, 코팅 시스템을 공급하는 회사로는 Nissan 및Toray가 있으며, 적용 회사로는 Apple, LG, 그리고 일본의 NTT가 있다. 또한, Engel이 폴리우레탄계 자기치유 스크래치 방지 코팅 제품 생산을 위한 전용 사출기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11년 이후 LG 화학 및 강남화성에서 전화기 케이스용 자기치유 스크래치 방지 코팅, POSCO가 강판의 자기치유 부식방지 코팅, 그리고 LG 이노텍이 자기치유 PCB 제조 관련 개발을 수행하여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금오공대 등 대학에서도 치유제 함유 마이크로캡슐 제조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저자
- M. Zhu, M.Z. Rong and M.Q. Zh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63()
- 잡지명
- Polymer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41~1749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