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럽연합 각국의 제로 에너지 빌딩 동향

전문가 제언

EU 각국 대부분은 EPBD(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Directive; 에너지 절약 건축물 지령)의 기본 방침에 따라 ZEB(Zero Energy Building; 제로 에너지 빌딩)추구하고 있다. 또한 EU 각국의 사정에 따라 ZEB의 시행 방법과 목표에는 차이가 있으나, REHVA(http://www.rehva.eu; 유럽난방환기공기조화연합)을 통하여 국가 간의 정보교류와 ZEB의 추진 일정방법을 조정하고 있는 특징이다.

 

EU는 에너지 절약과 지구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 고조가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빨랐으며, 이에 따라 ZEB의 추진도 여타 지역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또한, ZEB에 관한 정의라든가 실제의 정책 실현 등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의 세계적인 ZEB 방향성을 알아보는데 중요하다

 

화석연료나 전원을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완벽하게 자급자족형 제로 에너지를 구현하는 것은 경제성 확보가 어려우며, 연중 다양한 외기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외부 에너지와의 연계는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ZEB 정의의 골자는 건물 내의 관리가능 에너지(regulated energy; 난방, 환기, 조명, 급탕 등과 같은 관리가 가능한 에너지)와 함께 비관리 에너지(unregulated energy; 가전, 조리, 세탁 등과 같이 관리가 곤란한 에너지)를 포함하는 전체의 에너지 소비를 대상으로 하며, 온사이트(on-site)에서 영(0)을 실현하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ZEB에 관한 연구가 정부(국토교통부)와 대한설비학회 등을 중심으로 하여 지구환경을 고려한 에너지 자립과 안전등을 최종 목표로 연구 검토되고 있지만, 그 결과는 ZEB의 선진국에 비하면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소개한 ZEB의 추진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EU 각국 동향에 대한 각국의 현황을, 우리나라에 맞는 기술 개발은 물론, 기존 건물의 개수와 신축에서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O OKA 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88(1)
잡지명
空氣調和衛生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7~31
분석자
조*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