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 산업에서 항생제 사용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국내에서는 가축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의 거의 반 정도가 양돈계에서 소비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성장 촉진 목적의 항생제 사용이 문제됨에 따라서 국내에서도 2011년 7월에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가축 사료에 항생제 사용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내에서 사용 지속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국내 양돈 산업에서 사용되는 항생제 저항성 세균에 대한 자료는 제한되어 있다.
○ 국내에서 돼지고기 등에 대한 E. coli의 저항성 실태에 대해서 축산물위생검사소에서 조사하여 보고한 바 있다.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급식 원재료로부터 대장균을 분리한 5주에 대해서 각종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을 조사한 결과, penicillin과 ampicillin에 대해서는 거의 100% 저항성을 보였다. Neomycin과 tetracycline에 대해서는 80%를 보인 반면 cefepime, florfenicol 등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조사에서 조사 대상 숫자가 매우 낮아 통계적 의미는 낮으나 저항성의 추세를 나타내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국내 유행 E. coli에서의 내성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프라스미드를 통하여 ampicillin, kanamycin 및 streptomycin 등의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전이됨이 확인되었다. 돼지에서의 이와 같은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확인됨에 따라서 저항성 항생제 유전자의 전이 경로, campylobacter 등 돼지에서 중요한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의 분포 실태, 전이 경로 그리고 전이에 미치는 각종 요인 등에 대한 자세한 규명이 필요하다.
○ 특히 돼지는 국내 육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서 campylobacter 등 주요 문제 세균에서의 항생제 별 저항성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국내 양돈 산업에서의 미생물 유전자 전이 형태에 관한 자세한 실태 조사와 이에서 조사된 현황을 양돈 농가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 저자
- Mary D. Bart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9()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15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