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배열회수형 히트펌프의 효율적 사용방법과 장래성

전문가 제언

히트펌프는 저급 열원 (공기, , 지열, 배열 및 폐열 등)으로부터 에너지를 취득하여 냉난방 및 급탕과 플랜트 공정용의 고급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비연소성이고 환경 친화적인 열원기기로, CO2 배출 저 감에 크게 기여하여 에너지 소비 절약수단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히트펌프의 고 효율화는 히트펌프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성부품과 시스템 최적화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히트펌프는 에너지 소비효율의 향상, 한 냉지용 히트펌프의 성능 개선, 자연 냉매 온수기의 보급 확대, 지열 이용 히트펌프의 보급 확대, 경제성 높은 흡수식 히트펌프 개발 등이 기술적과제로 되고 있다.

 

이 문헌은 히트펌프에 관한 한 세계적 기술을 자부하는 일본의 히트펌프기술동향과 성능향상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배열회수 형 히트펌프를 중심으로 소게한 내용이다. 이 문헌의 필자가 지적하고 있는 앞으로의 핵심적인 과제는 복수의 열원에 대한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200수준의 고온 히트펌프의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냉매와 윤활유의 개발, 윤활유를 필요로 하지 않는 Magnetic Bearing의 개발, 저렴한 가격의 축 열 시스템의 개발, 그리고 고성능의 Smart Energy Network와 연계하기 위한 히트펌프시스템의 개발 등이다.

 

일본의 경우, 2004년 주택용 에어컨 출하실적이 약 670만대 정도이고 냉난방 겸용의 히트펌프 형이 전체의 약 99%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성능향상을 위해 새로이 도입된 에너지 효율 규제에 의해 고효율화가 진행되고 성적계수(COP)6.0 이상의 제품이 실용화되고 있다.

 

세계 시장은 2007년에 615억 달러, 2008년에 648억 달러규모에 달하고 매년 연평균 5%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업계동향을 보면 시스템 에어컨을 중심으로 건물공조용으로 공기열원 히트펌프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복수열원 히트펌프로 그 용량과 기술이 확대되고 있다. 히트펌프 시장은 2007년에 국내 시장이 이미 1조원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국내의 히트펌프관련기업도 히트펌프 성능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주력해야할 것이다.

저자
K SA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66(6)
잡지명
省エネルギ―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2~26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