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이동통신 기술 이슈
- 전문가 제언
-
○ 5G 기술은 4G-LTE보다 1천배 빠른 전송속도를 내는 차세대 무선통신기술이다. 800MB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 받는데 LTE는 약 40초가 걸리는 반면, 5G는 1초 이내가 소요될 것이다. 이 기술은 2020년에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유럽, 중국 및 미국 등에서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수년 내에 치열한 기술경쟁 단계에 접어들 것이다. 한국은 2013년 5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 삼성전자/LG전자/에릭슨-LG 등 단말기제조사, 중소기업 등이 참여하는 5G 포럼을 창립하고 적극 대응하고 있다.
○ 4G 이동통신 시스템은 많은 국가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나, 다종다양한 모바일기기들과 폭발적인 서비스 수요의 증가로 인해 4G시스템에서는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주파수 스펙트럼의 부족과 과도한 에너지 소모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고속 데이터 서비스 수요와 이동성 보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0년 이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한국은 5G 이동통신 시스템 추진전략을 통해 2020년까지 5G 단말시장 1위, 장비시장 점유율 20%, 국제표준특허 경쟁력 1위, 일자리 16,000개 창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2020년까지 정부, 민간 공동으로 약 1조6,000억 원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2020~2026년까지 5G 단말기 및 장비의 수출과 내수를 통해 331조 원의 매출과 국내 통신서비스부문 68조원 시장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 5G 이동통신 시스템 표준화를 위해 5G 서비스 및 기술 요구사항 등 공동비전을 선도적으로 국제사회에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모바일 광개토플랜 등 글로벌 주파수를 확보하고, 6GHz 이상 대역에서 신규 5G 후보대역을 발굴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2020년까지 국제표준특허 경쟁력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러한 거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산 ? 학 ? 연 ? 관 ? 민의 공동노력이 절실하다.
- 저자
- Cheng-Xiang Wang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52(2)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22~130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