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전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의 신뢰도 연구현황

전문가 제언

 

2013년 10월에 국내에서 개최된 ‘2013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의 원전 중대사고에 대한 정책과 그에 따른 확률론적 원전 안전성 평가(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의 법제화 문제가 논의되었다.

 

PSA는 현재 원전의 안전성을 가장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원전사고와 같이 과거의 사례가 많지 않아 고전적인 통계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 PSA는 시스템의 작동실패에 대한 확률이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통계를 도출할 수 있는 수준까지 사건을 논리적으로 분해하고 재결합하여 복합적 설비의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원전 안전시스템의 신뢰도 분석을 위한 PSA에는 최근에 결함수 분석(FTA, Fault Tree Analysis)과 퍼지원리 및 퍼지확률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데 실제 경우의 원전에 대한 사건과 사고 수 및 관련 데이터가 많지 않아 FTA의 실제 적용과 퍼지논리 및 퍼지확률의 도출 등에서 일정부분의 한계가 있는 것이 문제점이다.

 

이 자료는 원전 안전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신뢰도 분석에 사용되는 FTA와 퍼지에 대한 개념, 실제 원전 안전시스템에 대한 퍼지확률 분석의 적용사례 등에 대한 연구현황을 검토하고 원전 안전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의 개선방법 및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어 국내 관련 분야에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Julwan Hendry Purb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6()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3~80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