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배출권거래제 -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중국은 그동안의 에너지 공급을 주로 석탄에 의지해왔기 때문에 산업체제가 CO2 배출량이 많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환경오염과 기후변화가 세계적인 해결과제가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국가발전의 큰 장애요소이다. 따라서 중국은 2009년의 기후변화협약 총회에서 2020년까지 CO2 배출량을 GDP 기준으로 2005년 대비 40∼45% 감축하는 목표를 천명하였고 이의 달성을 위한 대책에 국가적 역량을 기울이고 있다.

 

탄소배출권거래제는 시장적 메커니즘을 통해 규제대상인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에 적정한 가격을 부여함으로써 기업들이 탄소배출량 감축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도이며 탄소세와 함께 가장 효율적인 탄소배출량 감축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국도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를 실시하기로 천명한 상태이다.

 

탄소배출권 제도의 구축과 기후정책 목표의 달성에는 배출총량 한도, 규제대상 가스, 배출권 할당방법, 참여대상, 과징금 등의 여러 가지 운영요소들을 어떻게 설계하여 운용하는가에 따라 산업과 경제 및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자료는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할 예정인 중국의 현황을 자세히 요약하고 있어 국내 관련 분야에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출전망 대비 30% 감축한다는 국가목표를 설정하고 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 중 하나로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을 예정하고 있다. 2012년 5월에는 배출권거래제법을 제정하였고 동년 11월에 시행령을 통과시켰으며 또한 2014년 12월에는 배출권과 관련한 회계처리기준을 통과시킴으로써 최종적인 준비를 거의 완료하였다.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되면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 즉, 철강, 시멘트, 정유회사 등이 배출량 감소에 적극 노력하지 않으면 재정적 부담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1차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업은 포스코, 현대제철, 쌍용양회, LG칼텍스, S-OIL, SK에너지, 동양시멘트, 삼성전자 등이 될 전망이다.


저자
Da Zhang, Valerie J. Karplus, Cyril Cassisa, Xiliang Zh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5()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16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