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 영상과 치료를 위한 다중기능 나노입자
- 전문가 제언
-
○ 뇌종양은 낮은 생존율을 가진 위협적인 질병이다. 뇌종양을 가진 대부분의 환자들은 적극적인 치료 방법에도 불구하고 결국 쓰러진다. 오늘 날 외과적 수술, 방사선요법, 화학요법을 포함한 다중 치료방법은 악성 뇌종양 환자를 위한 최신 표준 치료이다. 뇌종양에 대한 적극적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화학요법으로 생존율이 현저히 개선되고 있다.
○ 뇌종양의 조기 검출, 외과적 처치 계획 수립, 사후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해부학적/기능적 영상 기술의 진보는 암 치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MRI, CT, PET(Positron-Emission Tomography)를 포함한 영상 기술들이 뇌종양 진단, 특성분석과 수술 중 영상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이다. 형광 영상 같은 광학적 영상 기술들도 수술 중 형광-안내 종양 제거수술을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 최근 나노입자의 제작과 표면화학의 기술적 진보는 나노입자 플랫폼에 영상, 표적 추적, 약물 전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중 기능성 나노입자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박태관 교수팀은 생분해성 폴리머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암 주변의 낮은 pH에 감응하여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과의 현택환 교수와 공동으로 PLGA 나노입자에 자기 유도와 T2 강조 조영제로 초상자성 Fe3O4 나노결정, 광학 영상을 위한 CdSe/ZnS QDs, 항암제 Doxorubicin을 결합한 다중기능 나노의학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이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보이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MRI, CT, PET는 뇌종양의 검출과 진단에서 사용되는 표준영상 기술이다. 특히 PET는 원자력의학원에 의하여 처음으로 도입되어 18F-FDG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화합물이 원자력연구소에서 생산 공급되고 있다.
- 저자
- Yu Cheng, Ramin A. Morshed, Brenda Auffinger, Alex L. Tobias, Maciej S. Lesnia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66()
- 잡지명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2~57
- 분석자
- 엄*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