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사용자그룹 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미리 정의된 특정 IoT 장치를 통해 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고 임시 IoT 장치그룹을 통해 특정 컨텍스트와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함으로써 다양한 이기종 IoT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계층적으로 구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 주변의 다양한 사물(things)을 제어할 수 있는 상업적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사물인터넷(IoTs) 시스템 핵심은 미리 정의된 많은 유사한 특정 IoT 장치를 통해 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임시 IoT 장치 그룹을 통해 특정 컨텍스트와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이기종 IoT 시스템 간에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수많은 IoT 장치들마다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리소스를 낭비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여 트래픽 량에 따라 ABR(Available Bit Rate)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IoT 핵심기술은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감지 및 위치/모션 추적 등의 센싱 기술, 인간/사물/서비스 등 분산된 IoT 환경요소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 IoT의 주요 구성요소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서비스와 연동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핵심이다. 이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은 IoT망을 통해 저장, 처리 및 변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
○ 헬스케어, 스포츠 용품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IoT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위치 오차범위를 1~2m 이내로 정확하고 단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생활공간을 스마트하게 변화시켜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스마트 미디어 기기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서 나아가 인터넷을 통해 실내의 다양한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2020년 약 8조9,000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형성이 예상되는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기술의 조기 정착이 절실하다.
- 저자
- QUALCOMM INCORPORATE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31038
- 잡지명
- WO 2014131038 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1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