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압경수로에서 제어봉 낙하 식별방법
- 전문가 제언
-
○ 원자력 발전소 계측제어계통(I&C: Instrumentation and Contorl System)은 발전소보호계통, 발전소 감시계통 및 발전소 제어계통 등으로 구성되어 정상운전 시는 자동으로 운전된다. 이런 I&C 계통은 여러 가지 공정변수를 감시하고 제어하여 계통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하는데 원전의 출력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 노심상태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중성자속 검출장치가 필요한데 PWR(가압경수로)인 경우 노내중성자 검출기와 노외 중성자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자로 출력은 제어봉(Control Rod)을 조절함으로 출력 분포를 감시하여 제어한다.
○ 이 글에서는 제어봉 낙하사고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어봉 낙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외 검출기 반응 패턴을 인식하여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노심, 연소주기, 및 출력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용에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 국내 한국형 표준원전의 경우 중성자속 검출에는 노심 중성자속 감시계통(ICI: In-core Instrumentation System)과 노외 중성자속 감시계통(ENFMS: Ex-core Neutron Flux Monitoring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는 핵연료 연소도 평가, 노심의 열적여유도 평가, 노심 출력 분포 감시 및 노외 핵 계측기 교정에 이용되고 있다. 후자는 모든 출력준위의 중성자속 계속감시, 발전소보호계통과 제어계통에 안전등급 및 제어등급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ENFMS는 4개의 안전채널, 2개의 제어채널 및 2개의 기동채널로 구성된다.
○ 제안된 온라인 제어봉 낙하 식별방법은 기존 원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원전의 노심조건, 출력조건 및 노외 검출기 특성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 저자
- T,J. Souz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1()
- 잡지명
- Annals of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93~297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