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전 시뮬레이터에 대한 품질보증(QA)

전문가 제언

원전은 핵증기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의 1차계통과 터빈/발전기 등을 포함하는 2차 계통 및 기타 부수설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원전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원전 수명주기(설계, 건설, 운영 및 폐기) 동안 감시하고 분석할 수 있는 툴이 필요한데 그 중 하나가 원전 시뮬레이터(NPP Simulator)이다. 1970년대 후반에 발생한 TMI 사고 이후에 원전 운전원 훈련 및 면허시험에 시뮬레이터를 설치, 이용하도록 NRC(미 원자력규제위원회)에서 강제 사항이 되어 많은 시뮬레이터가 설치 운영 중이다.

 

원전 시뮬레이터는 운전원 훈련뿐 아니라 원전 설계/건설/연구지원(NPP Analyzer) 및 설계/건설에 대한 확인검증(Engineering Simulator)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뮬레이터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그 품질을 보증해야 한다. 원전 시뮬레이터는 H/W와 S/W로 구성되는데, H/W는 컴퓨터 시스템, 조작반 및 원전모사패널 등으로 구성되고, S/W는 시뮬레이션 환경 S/W, 원전 모델, 시뮬레이션 S/W, 조작반 S/W 및 통신 등 기타 S/W로 구성된다.

 

원전 시뮬레이터의 S/W는 원전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감안하여 안전관련 S/W 표준에 따라 품질을 보증해야 한다. 이런 표준은 IEEE 7-4.3.2, IEEE 1012, IEEE 1074 등이 있고, IEC 60880, IEC 62138 등이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터는 원전에 대한 표준의 요건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표준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건을 만족하도록 체계적인 절차를 정하여 S/W를 구축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라고 본다.

 

국내의 경우 최근에 고리원자력본부 교육훈련센터에 원전중대사고(Beyond Design Basis Accident)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고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12월 2일 발표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는 최신의 중대사고 해석코드(MAAP 5.02)를 탑재한 세계최초의 프로그램으로 기존 미국, 스웨덴 및 일본 원전에 설치된 중대사고 코드보다 성능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계기로 원전설계검증, 가상현실기술의 가상모의 등 새로운 응용범위를 계속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Ye Cheng,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0()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8~133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