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빅 데이터 시대에 주목받는 데이터 분석 기술

전문가 제언

  빅 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거대한 데이터를 병렬 계산기로 취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기반과 함께,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한 데이터 분석 기술의 기대와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지면 어려운 여러 분야에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유용한 지식과 가치를 창출하므로 빅 데이터 분석이 국가나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차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빅 데이터 분석기술의 진전으로 분석 결과를 직접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경우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처럼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빅 데이터 분석결과의 활용은 유용한 데이터 수집과 고급 분석기술에 달려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량의 데이터에서 미흡한 데이터를 정제/변환 하거나 특정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마이닝 등의 기술과 여러 데이터를 조합한 다종 혼합 데이터에 대한 분석기술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명확한 목표에 따라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과제이다. 


  외국 기업의 경우 빅 데이터 분석의 다양한 활용사례들이 존재하는 반면 국내 기업의 경우 활용 분야가 아직 제한적이고 수익을 창출하는 구체적 활용사례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빅 데이터 핵심 기술에서도 선진국에 비해 2∼4년의 기술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등 한국의 분석기술은 지금이 시작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마이닝 기술은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과 정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빅 데이터 분석기술 개발과 활성화를 위하여 산학연이 협동하여 데이터 수집, 저장 및 고급 분석기술의 연구 개발을 위한 과감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과 함께 소프트웨어 레퍼런스, 응용분야별 템플릿, 활용가이드의 개발 보급과 국내 소프트웨어 사업자들이 빅 데이터 분석 공개 소프트웨어 기술기반을 위한 연구개발도 시급하다. 그리고 빅 데이터의 활용 확산을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공공데이터의 활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저자
ORIHARA Ryohei, NISHIKAWA Takeichiro, SATO Mak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69(7)
잡지명
東芝レビュ-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6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