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시대의 네트워크과 기기들
- 전문가 제언
-
○ 휴대폰은 초기에는 AMPS 방식의 아날로그 방식도 쓰였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2G)인 CDMA 방식의 디지털 휴대폰이 주종을 이뤘다. 2000년대 초반부터는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3G)인 WCDMA 방식이 상용화되면서 영상통화와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는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4G)인 LTE, LTE-A 방식이 상용화되면서 기능이 더욱 향상된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다.
○ 스마트-폰 이용자가 늘면서 사람들의 일상도 달려졌다.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기업들도 상품 소개, 은행 업무, 고객 관리 등 전 영역에 걸쳐 스마트-폰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신에게 필요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폰은 인터넷 접속이라는 단순한 목적을 넘어 생활 습관과 일상의 모습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 2014년 시스코가 발표한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랙픽 전망에 의하면 전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랙픽은 향후 4년간 11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개인 단말기와 사물통신(M2M 통신)등 모바일 인터넷 연결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100억대가 넘어설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시스코의 전 세계 평균 전망치보다 훨씬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 미래창조과학부 통계에 의하면 2014년 9월 기준 이동전화 가입자는 5,674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미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이와 같은 폭증이 예상되는 무선데이터를 4G 통신망인 LTE 만으로 감당하기에는 벅찰 것으로 판단되며 가까운 장래 5G 통신망으로 이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5G 시대의 네트워크와 기기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 기술하고 있어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 저자
- Boyd Bangerter, Shilpa Talwar, Reza Arefi, and Ken Stewar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52(2)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0~96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