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거대 지진의 재해분석:규모, 피해정도, 빈도에 관하여

전문가 제언

지진재해 분석, 특히 최악(extreme)의 지진인 경우 지진의 특성(origin)을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여기에는 지진의 규모, 빈도, 그리고 지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재해 변수(: 지반진동의 강도)간의 관련성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이들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이나 구조물 등에 확률논적 지진재해 분석(PSHA)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중요성을 강조한 확률론적 지진재해분석(PSHA)의 목적은 재해가 특정된 수위(level)에 도달할 확률이 얼마가 될 것인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가령 50년 내에 예측된 재해 수위를 초과 확률이 10%, 또는 재현기간 내에 일어날 수 있는 연간 확률이 20% 등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PSHA는 확률적으로 어떤 규모의 지진이 얼마나 큰 재해가 얼마의 빈도로 일어날 수 있는지를 확률로 제시하는 방법이다.

 

M 9.0 이상인 최악의 지진은 대부분 판 경계부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계기지진 기록은 불과 40~50년으로, 이들 계기지진 자료만으로 최악의 지진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판 경계에서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최악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매우 적다는 것이 학자들의 견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규모 5.0을 상회하는 지진이 홍성지진을 비롯하여 3회에 불과하다.

 

그러나 지진의 위험은 지진 취약성(vulnerability)의 높고 낮음에 크게 좌우된다. 그런데 건물과 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 등의 지진 대비가 잘 되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취약성의 크기가 달라진다. 가장 비근한 사례가 2010년의 Haiti 지진(M 7.0)이다. 이곳은 지진 대비가 전무한 탓에 취약성이 최고 수준이 되었고, 이로 인해 3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초래하였다. 이를 교훈삼아 우리나라도 지진 위험 취약성을 발굴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할 것이다.

 

저자
Ivan G. Wo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72()
잡지명
Natural Hazard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99~1309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