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경황기 종자인 사원자의 민족의학, 식물화학 및 약리학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사원자(Flatstem Milkvetch, Semen Astragali Complanati, SAC)는 편경황기(Astragalus complanatus Bunge)의 잘 익은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근육, 간, 신장, 혈액, 피부, 생식기 계통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민족의학과 관련되는 전통 중국의학에서 사용하는 약제다.
○ 각종방법으로 수집된 50여 편의 논문을 포함하는 70여 참고문헌을 분석하여 사원자의 주요 성분은 지방산, 아미노산, 다당류, 플라보노이드, 트리 테르펜 배당체 및 미량원소이며, 주요 생체 활성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인 것으로 밝히고 있다. 사원자의 독성은 매우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결론이며, 세포 내 활성 산소종의 처리에 관한 사원자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사원자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침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 사원자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생약종합정보시스템의 생약DB검색의 사원자란에서 식물명은 편경황기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유사명은 동질려, 사원질려, 학명은 Astragalus complanatus R. Br., 라틴명은 Astragali Semen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한약재 관능검사해설서에 따르면 편경황기(Astragalus complanatus R. Brow)의 종자만이 정품이고 동속의 근연식물인 화황기(Astragalus chinensis L.),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및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의 종자는 공정서 개정으로 위품이 된다.
○ 수술,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등 기존의 암 치료는 해로운 부작용이 있어 최근에는 한약 또는 다른 천연 제품을 병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시도되고 있어 편경황기의 종자인 사원자와 같은 한약을 병용하여 만성질환을 치료하거나 질병은 아니지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이상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겪거나 검사에서 경계역의 이상소견을 보이는 건강상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약초 경작자도 종의 보전에 노력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Yam-FungNg, Philip Chiu-Tsun Tang, Tung-Ting Sham, Wing-Sum Lam, Daniel Kam-Wah Mok, Shun-Wan Ch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155()
- 잡지명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53
- 분석자
- 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