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공업에서 형광 X선분석의 응용
- 전문가 제언
-
○ 물질의 화학분석에는 화학적 분석법과 물리적 분석법으로 크게 분류하고 있다. 주로 용액 중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분석법을 화학적 분석법이라 하며 습식분석법이라고도 한다. 성분의 물리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분석방법을 물리적 분석법이라 한다. 물리적 분석법은 화학구조와 질량 또는 농도와 물리적 성질이 유관한 것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근래 눈에 띄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기분석(instrumental analysis)이라고도 부른다.
○ 물리적 분석법에는 분광분석(발광, 형광, 흡광, 회절)과 전기분석, 분리분석, 질량분석, 자기장분석, 열분석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기기분석의 장점은 높은 선택성과 고감도, 신속하며 미량분석, 비 파귀 분석, 자동화와 재현성이 좋아 선호하게 된다. 그러나 구매가격 과 유지비가 고가이고, 숙련도가 요구되고, 표준물질과 참조물질(reference sample)의 관리와 기기보정(calibration)이 절대필수적이다.
○ 유리의 원료분석이나 제품분석에도 기기분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분석가능한 성분의 수, 질량, 농도와 미량성분에 따라 몇 가지 기기분석을 같이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기기분석에 비하여 XRF(형광 X선 분석)는 원자번호 4번에서부터 92번까지 폭넓게 분석할 수 있고 ppm단위의 미량 분석이 가능하므로 일반규산염유리는 물론 특질유리까지 분석이 가능하다.
○ 우리나라에서 아직은 고가의 장치라서 중소기업체에서 자체보유 운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지만, 고기능성유리를 연구개발 제조에는 필수분석 장치이고, 범용성 유리 제조에도 품질관리와 연구개발을 통한 신제품개발의 분석 장비로 갖추어지기를 바란다.
- 저자
- Gakuto Takaha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29(112)
- 잡지명
- ニュ-ガラ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0~25
- 분석자
- 강*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