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EMFC 전극의 황 피독 저감

전문가 제언

PEMFC(polymer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연구가 많은 분야에 걸쳐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 PEMFC 운전에서 확산, 화학 반응과 플러딩 같은 많은 현상을 이해하게 모델들이 개발되어, 특히 연료전지 자동차에 적용할 때, 최적의 성능을 구하고 있다. Pt코스트와 물 관리는 PEMFC가 안고 있는 상업화의 2대 장벽이다. 이에 대한 방책이 Pt 로딩을 줄여서 반응물의 확산, 전도도와 소수성을 조심스럽게 조절하는 것이 관건이다.

 

ORR(oxigen reduction reaction)과 낮은 Pt로딩이 PEMFC에서 거의 주류를 이루는 중요 연구로 카본 로딩의 영향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 저자들은 그래핀 지지 Pt촉매를 합성, 황에 대한 저항성과 독작용을 저감하는 유익한 보고를 하고 있다. 저자들은 황 피독 촉매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접착된 오염 종들을 산화시키기 위해 전위법/정전류법(Potentiostat/Galvanostat)을 사용하고, 다른 방법은 연료전지의 전위 이내에서 순환을 반복시켜 회복한다. 자기 회복법과 연속 분극법 중에서 분극법이 빠르고 높은 회수율로 나은 방법임을 보여 주고 있다.

 

그래핀은 원자적인 박막이나 2차원 시트를 가져 촉매활성을 개선할 기대를 갖고 있다. 그래핀은 흑연의 단일층을 가리키는 기본구조 단위이다. 편의상으로 카본나노튜브는 그래핀을 통 모양으로 한 것이고 풀러렌은 5원 고리를 부가해 구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인 탄소물질은 미세한 그래핀이 무질서하게 다수 적층된 복잡한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많은데 그래핀은 sp2 구조를 가진 많은 탄소재료의 모 물질이다. 이 글에서 그래핀은 재래의 카본보다 Pt지지에 더 좋은 내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는 한양대가 연료전지 촉매활성도에 대한 Pt/C의 기하학적 효과에 대한 보고가 최근 있었고, 서울과기대가 PEMFC의 그래핀 기반 PtM촉매의 ORR연구도 최근 발표하였다. 이외에도 다수 연구가 있는데, 울산대, 고려대, 효성과 SK 및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등이 CO의 산화반응, 합금의 첨가반응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자
Prithi Jayaraj, P. Karthika, N. Rajalakshmi, K.S. Dhathathrey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9()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045~12051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