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의 용접부 품질 보증과 비파괴검사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운송수단을 비롯하여 건축, 교량, 원자력 플랜트 등 각종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통한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해서는 이러한 구조물의 제조단계 및 운용 시에, 특히 용접접합부에 대한 품질관리와 비파괴검사기술이 중요하다. 따라서 품질관리 시스템은 글로벌화 하여 많은 기업의 QA/QC활동은 ISO 9001 「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 Requirements」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비파괴 검사기술은 디지털화로 발전하고 있다.

 

이 해설은 지난 2013년부터 1년간에 걸친 용접부의 품질보증과 관리, 비파괴 검사 기술 동향을 일본용접학회에서 분석한 내용이다. 용접부의 품질보증을 위한 국제규격의 동향과 이의 적용방법 등에 대해 해설하고, 비파괴 검사기술의 세계적 동향과 일본 국내의 비파괴 검사기술의 동향과 규격화, 표준화동향에 대해 해설한 내용으로 우리나라 용접부의 품질관리와 비파괴검사기술 발전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세계 각국은 ISO 9001의 용접공정에 적용하는 규격인 ISO 3834 : 2005「Quality requirement for fusion welding of metalic materials」을 기본으로 하여 기술적 내용 및 구성을 자국의 실정에 맞게 변경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의 경우, JIS Z 3400 : 2013 「금속재료의 용접에 관한 품질요구사항」이 제정 발행되어 운용되고 있고, 용접관리기술자 규격으로 일본 용접협회(WES)규격이 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많은 기업에서 ISO 9001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실행규정이 미비한 상태에 있고, 용접기술인력 교육체계와 용접기술인력 검정 시스템은 관 주도하의 위주로 되어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사단법인 대한용접학회는 IIW의 International Authorisation Board(IAB)에 가입하여 ANB(Authorised National Body) 자격으로 ISO체제의 용접기술인력 교육 및 검정시스템을 준수하여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용접부의 품질관리 체계를 세밀히 정비하고, IIW나 AWF의 회원국으로서 그 입지를 더욱 강화시켜나가는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저자
HARASAWA Hideaki, YOKONO Yoshikaz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83(5)
잡지명
溶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19~423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