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로 고체발효 한 병아리콩의 항산화 능력 증진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동충하초(Cordyceps)는 자낭균강(Ascomycetes), 맥각균목(Clavicipitales), 맥각균과(Clavicipitaceae)에 속하며 곤충의 충체 내에서 자실체(버섯)를 형성하여 기생하는 진균이다. 전 세계적으로 400종 이상, 국내에 80여 종이 자생하고 있다. 현재 식품원료로 등재된 동충하초는 번데기동충하초(C. militaris)와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뿐이며 한약재로는 중국 동충하초(C. sinensis)만 사용되고 있다.
○ C. militaris 자실체와 균사체는 모두 기능성식품(약효식품)의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병아리콩(Cicer arietinum L.)은 단백질, 페놀화합물, 비타민, glutathione이 풍부하고 지방은 적다. 병아리콩의 균형 있는 영양성분 때문에 이 콩을 정기적으로 섭취하면 당뇨병, 비만, 암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고 한다.
○ 이 논문은 최초로 Cordyceps militaris SN-18를 병아리콩에 고체발효시킨 후 다양한 용매(메탄올, 에탄올, 물)로 추출하여 총 페놀과 사포닌함량을 측정하고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DNA손상보호 측면을 조사하였다. 발효콩 추출물의 HPLC 분석결과, shikimic acid, chlorogenic acid, rutin, daidzein, genistein, biochanin A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총 페놀과 사포닌함량, 항산화활성, DNA손상 보호활성이 비 발효콩 보다 더 높았다고 한다.
○ 최근 국내에서도 동충하초에 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LED광을 이용한 P. tenuipes 생산(조유영 등 2014) 및 C. pruinosa 배양조건(김준영 등 2013)연구와 C. militarius의 면역활성(강인순 2014, 김혜주 등 2012), 항당뇨(서동석 등 2013), 항고지혈증(김한수 등 2012), cordyceptin강화 발효특성(안희영 등 2013), diketopiperazine 성분(김선범 등 2013)등 효능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 한국의 두류발효제품은 주로 메주를 이용한 장류(간장과 된장)와 청국장뿐이다. 앞으로 두류발효식품 생산에 동충하초로 발효시킨 두류를 보강하여 의약기능성이 강화된 발효식품이나 새로운 기능성 건강식품의 개발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Yu Xiao, Guangliang Xing, Xin Rui, Wei Li, Xiaohong Chen, Mei Jiang,Mingsheng Do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0()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10~222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