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무인항공시스템을 이용한 원격환경측정 1: 발전과 도전
- 전문가 제언
-
○군사용 SUAS는 2차 대전 후 항공기나 대공포 및 미사일의 표적을 시작으로, 지금은 무인항공기 기술발전과 전술적 가치증대로 전술 감시정찰 및 표적지시 용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전투능력도 예상된다. SUAS는 국가나 전술적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Mini Unmanned Aircraft, Micro Unmanned Air Vehicle, Organic Air Vehicle 등으로 분류한다.
○ 현재 군사용 SUAS의 향후 능력별 세계적 발전추세는 다음과 같다: Platform 분야는 연료 재공급, 연료효율 증가 및 소음 가청거리 150-300m 이하; Pay-load 분야는 수목 하 표적탐지 및 해상도 증대; Communication 분야는 실시간 통신/이미지 및 초스펙트럼 이미지 전달; Information Processing 분야는 자동표적인식, 인간지능 프로세서 구현, 레벨5 디지털지형고도데이터 향상. SUAS 분야 역시 UAS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구현할 것으로 본다.
○ SUAS 용 주요 임무(원격측정)기술의 발전추세를 보면: 3차원영상을 복원하는 SfM 패키지는 사진기하학기법 중 하나로 최근에는 여러 기법을 통합하려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중분광 및 초분광 기술은 잠재력이 크나 비용과 영상기준성이 해결해야할 문제이며, 열영상기술은 소형저고도 비행플랫폼에 적합한 기술이나 문제점으로는 고가, 영상생성을 위한 복사조도 제한, 영상의 정확한 설명 어려움, 물체의 정확한 온도측정 등이며, 그리고 SAR 나 LiDAR 기술은 SUAS에 적합한 기술이나 아직 개념입증 단계이다. 대부분의 기술이 군사용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민간/상업용 기술은 군사용 기술의 진화적 응용이 될 것이다.
○ 국내 군사용 UAS 기술은 90년대 중고도 정찰용 UAS 개발을 시작으로 임무별 UAS 시스템 및 운용기술, 통신/감시정찰기술 등의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SUAS 플랫폼기술은 아직 개념단계이나 UAS 기술을 기반으로 전술목적의 체계지원 SUAS(Organic Air Vehicle)의 발전이 예상되며, SUAS 임무기술로는 당분간 외국기술에 의존하나 3차원 영상프로세스 소프트웨어가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
- 저자
- Ken Whitehead and Chris H. Hugenholtz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2()
- 잡지명
- Journal of Unmanned Vehicle Syste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9~85
- 분석자
- 안*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