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전지 소형화기술의 최근 동향
- 전문가 제언
-
○ 핵전지(nuclear battery)는 원자력전지라고도 하며 원자력을 사용하는 초장수명의 매력적인 전지이다. 이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핵전지는 주로 인공위성, 신호발생기, 극저온지역 탐사선, 심장박동기 등의 다양한 특수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 특히 행성탐사용 위성에는 수명이 짧은 화학전지나 화성을 벗어나면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태양전지 대신에 핵전지와 소형 원자로가 사용되고 있다.
○ 지금까지의 핵전지에서는 주로 방사선동위원소에서 나오는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전자장치의 소형화 추세를 따르기 위해 소형 핵전지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이 자료는 장기간의 수명과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소형 핵전지시스템을 중심으로 핵전지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사선원의 형태와 특성 및 에너지 전환에 적합한 변환기 특성, 그리고 방사선원을 변환기에 통합하는 원리 등을 요약하고 있으며 방사성동위원소의 공급원과 활용도 및 시스템 평가 등을 고찰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산학연 협력에 의하여 2017년까지 나노 기반의 한국형 고밀도 핵전지를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이 분야에 관심이 큰 신진연구자나 학생들에게는 이 자료의 본문에 자세하게 개관되어 있는 핵전지 기술동향분석이 크게 참고가 될 것이다.
- 저자
- Mark A. Prela, Charles L. Weaver, Matthew L. Watermann, Eric D. Lukosi, Robert J. Schott, Denis A. Wisniewsk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5()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17~148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