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찰교반용접부의 품질 인증기술

전문가 제언

본 발명에서는 마찰교반용접 시에 품질인증에 관련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정보가 소개되어 있다. 특히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결함을 찾아내고 모니터링하여 품질인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시스템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마찰교반용접부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온라인 비파괴검사로는 시각적 검사와 방사선 투과시험 외에도 초음파 검사와 와전류(eddy current) 검사가 있다. 초음파검사는 물질의 밀도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공(void)과 루트부 용접결함의 파악에 최적이다. 와전류검사는 용접부 내의 밀도와 성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지만 가공소재를 투과하지 못하므로 박판으로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향후 국내 기업체에서도 센서를 이용한 용접결함의 검출방법을 본 발명을 기본으로 연구 개발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인증체계를 형성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용접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국내외에 여러 가지가 제시되어 있지만, 자동 혹은 반자동으로 온라인 비파괴방법을 입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표준 설정기구의 표준을 따라야 한다. 표준설정기구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WS(American Welding Society),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용접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을 숙지하여야 한다.

 

마찰교반용접 기술은 기존 용융 용접과 달리 별도의 열원 발생장치, 용접봉, 용가제, 분위기 가스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용접부위의 전처리도 불필요해 자원의 절약 효과가 높다. 또한 경량 합금의 용접이 용이해 자동차, 선박 및 각종 전자부품 등의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응용될 수 있으며 접합과정에서 유해광선이나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것이 특징이다. 최근 마찰교반용접에 대한 제조공정에 대하여 용접결함을 검사할 수 있는 자동화 및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개발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일례로 윈젠(주)이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신청한 '경량합금 마찰교반 용접기술'이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

저자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WO20140077812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8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