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막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과 효소세제
- 전문가 제언
-
○ 계면활성제는 화장품 및 주방세제의 주원료뿐만 아니라 반도체/전자, 기계, 섬유, 의료, 약품 등 전 산업에 응용되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요한 제품의 하나이다. 최근 피부자극이 낮은 생분해성 천연 계면활성제의 화장품 및 의료분야의 이용이 관심이다. 특히 발명에서 전통적으로 세정 및 세척이 까다롭고 어려운 의료기구의 세척용 세제조성은 의료기구의 표면으로부터 생물막을 제거에 효과가 기대된다.
○ 생물막은 화장실시스템, 하수처리공장, 열교환기, 치아 및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범위의 표면에서 성장한다. 이들 표면에서 생물막의 형성은 유체흐름과 표면물질의 성능의 수명을 저하시킨다. 특히 내시경과 같이 복잡한 의료기기 표면에서 성장하는 생물막은 환자에 오염되어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여러 환자에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기의 빠르고 효과적인 세정방법이 특별히 요구되고 있다.
○ 발명의 새로운 생물막 제거를 위한 계면활성제의 활용은 의료기기, 자동차 또는 가축, 애완용동물 등의 세정에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특히 위생을 우선으로 꼽는 의료기기 세척에 큰 효과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조성은 1차 효소와 2차 효소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pH4-12의 범위로 10초 이내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기로부터 90%의 생물막을 제거하는 기술로 의료계관심의 대상으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 이 발명의 주요 기술은 ① 1차 단백질분해효소와 2차 아밀라아제를 각각 세제 총 중량의 10wt%이하를 포함하는세저의 조성 ② 10wt% 이하, 특히 2wt%-6wt% 범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와 0.1-2.0 wt%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세제의 조성 ③ 비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의 조성과 이의 제조방법 등으로 전술한 기술 항목 중 상당 부분은 국내 특허로 등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발명의 유사기술 활용에 앞서 각 기술 항목에 대해 특허 및 실제제품에 대한 분석조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에 따라 활용 범위의 폭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RUHOF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38165
- 잡지명
- WO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