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원계 Mg-Ca와 MgZn합금의 쌍정과 집합조직

전문가 제언

3대 구조용 재료인 강철,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중에서 마그네슘은 가장 가벼운 특성 때문에 수송용 차량 및 우주항공부품에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Mg는 HCP결정구조를 가지므로 전위 슬립계가 저면의 3개로 제한되고 있어서 전위 이동에 의한 변형이 불량하다. 변형이 계속되기 위하여 쌍정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가공용 마그네슘 합금(wrought magnesium alloy)도 기지조직이 Mg인고로 압연/압출 공정에서 강한 쌍정조직을 형성하여 인장 및 압축 응력 하에서 비대칭적인 항복거동을 보인다. 이렇게 형성된 쌍정을 포함한 냉간경화된 압연판재를 열풀림 처리하면 저면이 압연판과 평행한 강력한 집합조직을 형성하여 성형성을 크게 제한한다. 이 집합조직을 완화시켜서 성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최근의 주요 연구 분야이다.

 

집합조직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합금을 성형하기 전에 실온에서 약간의 변형을 가하여 적은 양의 쌍정을 미리 생성시킴으로 이방성을 완화시켜서 성형성과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는 방안도 있다. 또한 압연속도조절, 교차압연 및 비틀림압연 등의 새로운 가공방법으로 성형성 문제를 개선하는 연구도 있으나 좀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합금첨가원소의 선정과 그 조성의 조절이다.

 

집합조직의 주역인 쌍정형성을 완화시키는 합금원소로 최근 연구자의 관심을 끄는 Ca와 희토류 원소가 있다. 희토류 원소로는 Gd와 Y 등이 있으며 이 분야 연구는 주로 중국, 일본 및 미국 등 서방 선진국에서 선도하고 있다.

 

본 분석의 연구는 연세대학과 청주대학의 공동연구이다. 국내의 Mg합금 연구는 서울대, 연세대, POSTECH, 부산대, 홍익대, 전북대, 충주대, 인하대, 재료연구소, KIST 등 여러 곳에서 수행 중이다. 그러나 대부분 전통적인 AZ계열합금의 특성연구를 수행하고 희토류 함유 합금개발 연구는 연세대와 부산대에서 최근에 연구를 시작하고 있으며 이 분야 연구의 국내 활성화가 절실하다.

저자
Jong-Youn Lee, Young-Su Yun, Won-Tae Kim, and Do-Hyang Kim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20(5)
잡지명
Metals Material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85~891
분석자
남*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