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팽창계수가 다른 재료로 제조된 다이캐스팅 기계의 슬리브 조립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대당 다이캐스팅 부품은 약 100kg이 사용되며 매년 다이캐스팅 부품 사용량은 증가 추세에 있다. 자동차에서는 엔진부록, 실린더, 실린더 헤드, 미션 케이스 등에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 하체부위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강도와 인성이 요구되는 부품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 다이캐스팅 공법은 많은 장점이 있으나 고온 용탕 사출 작업으로 금형 수명이 단축되고 있어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수명 연장을 위해서 금형의 열 피로나 마찰 및 마모에 견딜 수 있는 고온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그러나 슬리브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었다.
○ 단위 시간당 생산 속도가 높아지고 제품의 단위 중량이 무거워짐에 따라 슬리브를 고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특별히 강구되지 못해 슬리브를 자주 교체하여 원가가 높아지고 생산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외국에서는 슬리브를 이중으로 만들어 그 사이에 냉각수나 액체금속을 순환시켜 슬리브의 마모와 휨을 방지하기도 한다.
○ 국내의 다이캐스팅 실수요자들도 장시간의 다이캐스팅 기계사용으로 슬리브가 편마모되거나 휨을 이미 체험하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플런저 또는 고정 테이블의 위치가 조금 비틀어지더라도 슬리브의 중심 축이 플런저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하여 슬리브의 한족이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형 다이캐스팅 머신용 슬리브 중심축 자동 보정장치를 특허 등록을 2012년9월20일(10-1186236-0000)에 하고 있다.
○ 기아자동차주식회사에서는 2008년에 다이캐스팅 사출 슬리브의 냉각시스템(공개번호 10-2008-0081463)을 발명하여 슬리브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 사이클이 단축되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2000년에 들어와 슬리브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다이캐스팅 제품 양산에 이바지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저자
- PRATT & WHITNEY SERVICES PTE LT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7985
- 잡지명
- SHOT SLEEVE ASSEMBLY WITH MATERIAL OF DIFFERENT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9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