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합금의 MIG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방사량
- 전문가 제언
-
○ 전자기파 중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보라색 스펙트럼 옆에 있는 자외선은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피부암, 화상 등을 일으켜서 강렬한 자외선에 피부를 장시간 노출하면 위험하다. 아크용접시 4,000~5,000℃의 고온과 함께 강한 백색 자외선이 방출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장 주변에서 일하는 용접사와 작업자들은 내열 스크린, 눈/안면 보호구 및 보호복 등의 안전장비들을 착용하여 자외선을 포함한 방사선과 뜨거운 스패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 알루미늄합금은 철강재료에 비해 비강도가 높아 수송기기분야에서 에너지 절약형 경량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Mg은 알루미늄합금의 주요 합금 원소로서 2000계열(AlCuMg), 5000계열(AlMg), 6000계열(AlMgSi), 그리고 7000계열(AlZnMg)에 첨가된다. 그런데 Mg은 알루미늄에 비해 비등점이 매우 낮아(알루미늄 : 2743K, Mg : 1364K) 아크에 의해 가열된 용접와이어의 선단부에서 알루미늄 원자보다 Mg원자가 먼저 기화되면서 강력한 자외선이 방출하므로 용접사의 건강보호 차원에서 강력한 대비가 요구된다.
○ 자동차의 패널에 사용되는 도장 baking성이 좋은 6000계 판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범퍼부재에 사용되는 단면형상의 설계에 유리한 6000계 압출형재, 철도차량의 구조부분에 사용되는 6000계 형재, 선박에 사용되는 ISO 규격의 6005A 합금과 6082 합금 등을 포함한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에는 AlSi계(AWS ER4043, EN AWAlSi5, AWS ER4063, AWS ER4093)와 AlMg계(AWS ER5356, EN AWAlMg5)의 용가재를 사용한다. 특히 AWS ER4943 용접와이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Si와 반응하여 Mg2Si 석출물을 형성하는 강화 원소인 Mg을 첨가하므로 따라서 Mg에 의한 강력한 자외선 방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도장된 벽면에서 계속적으로 용접을 진행할 경우 AWS QC1(Standard for AWS Certification of Welding Inspectors)의 Module 2(Safe Practices for Welding Inspectors)에 따라 벽은 자외선을 반사하지 않는 물성의 페인트(TiO2나 ZnO를 포함하는 페인트는 자외선 반사율이 낮음)로 칠해져 있어야 한다.
- 저자
- 中島均, 宇都宮昭弘, 藤井信之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52(8)
- 잡지명
- 輕金屬溶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90~297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