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생물 전해전지의 현황과 도전과제

전문가 제언

미생물 전해전지(Microbial electrolysis cells, MECs)는 전기매개의 미생물 바이오전기화학 기술로서 전통적인 바이오기술과 비교하여 열역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비교적 온화한 조건 하에서 다양한 유기물질로부터 고 수율로 수소를 생성하고, 또는 생물학적/화학적으로 불가능한 반응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어 다양한 플랫폼 기술이 되고 있으며,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 및 자원회수에 관련한 환경적인 이슈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생각된다.

MECs의 수소 생산 성능은 실험적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스케일-업에서의 쿨롬 효율 및 수소 생성 속도는 실험실에서 관찰된 최고치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화합물 합성, 오염물 제거 그리고 금속 회수와 같은 응용분야는 아직 실험실적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는 개발 초기 단계의 유망한 기술 분야로 생각된다.

2009년 캘리포니아의 와이너리에서 처음 시작된 파일롯트 플랜트는 MECs에 의한 수소 생산의 실용화가 향후 2-5년 이내에는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2010년 호주에서의 양조장 폐수를 활용한 가성소다의 파이롯트 생산 결과는 투자비만 충분히 낮출 수 있고 생산된 가성소다를 현장의 세정제로 사용한다면 실용성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MECs 관련 연구는 현재 폐수로 부터의 전기 및 수소 생성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영국의 Newcastle Univ., 미국의 Virginia Polytech., Penn. State Univ., Univ. of Colorado Boulder 및 Oregon State Univ., 스페인의 Univ. of Leon, 벨기에의 Ghent Univ., 독일의 RWTH Aachen Univ. 불란서의 Univ. of Toulouse, 그리고 일본의 약과대학 등 다양한 국가의 대학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의 MECs관련 연구는 1999년에 세계 최초로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를 개발한 이례, GIST, DGIST, 한국 해양대, 부산대, 한국수자원공사, 그리고 연세대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
Zhang, Yifeng; Angelidaki, Iri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6()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1~25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