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속하고 간편한 전처리법을 도입한 잔류농약 동시 분석법의 개발

전문가 제언

본 보고서는 일본에서 사용빈도가 높고 위반 사례가 있는 잔류농약에 대해 LC/MS/MS 법으로 동시 분석 대상에 없는 40종 농약에 대하여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분석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QuEChERS 법을 도입한 동시 분석법을 검토하여 보고하였다.

우리나라는 농산물 중 잔류한 농약에 대하여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허용기준이 정해져 있다 만일 기준이 정하지 않은 경우 당해 농산물에 대한 CODEX 기준, 설정된 당해 농산물과 대분류군에 속한 농산물의 최저기준, 그리고 당해 농약 기준 중 최저기준을 차례로 적용한다.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잔류농약 허용기준과 시험방법이 수재되어 있다. 280여 종 이상의 잔류농약을 분석 가능한 다종 농약 다성분 분석법(2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290여 종 이상의 농약을 분석할 수 있고 더욱 더 개선된 GC-MS/MS 법과 LC-MS/MS 법을 추가하여 개정한 시험법을 행정예고(2014년 7월)하여 곧 고시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3년 우리 국민이 많이 소비하는 쌀 등 15품목 농산물 232건을 수거하여 283종 잔류농약 성분을 조사한 결과 총 230건(99.1%)이 기준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조사결과, 깻잎 1건 및 복숭아 1건 등 2건이 농약성분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참고로 최근 3년간 총 44품목의 농산물(935건)을 수거하여 농약 잔류여부를 검사한 결과 931건(99.6%)이 기준에 적합하였다.

식품 중 잔류농약에 대하여 2017년 이후 우리나라는 일본이나 유럽 등과 같이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불검출 수준(0.01ppm 이하)으로 규제하려는 포지티브리스트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따라서 많은 물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에 대비하여 현재의 시험법보다도 더 많은 농약에 대하여 신속 정확하고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시험법을 확립하기 위한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Chie KOBAYASH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4(5)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1~35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