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의 개발과 시장요구

전문가 제언

휴대용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가격저하, 시스템 소형화, 내구성 증대와 같은 기술적인 요인 많으며 또한 메탄올에 대한 메탄올 규제완화, 연료인프라 구축과 같은 법적, 사회적인 기반 구축이 요구된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고성능화가 기존의 2차전지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항까지 진행되고 있어 시장 도입의 니즈와 시급성이 크게 증대하고 있는 상항이다.

 

특히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새로운 모델의 라이프사이클이 1년 미만이고 소비자들의 교환주기도 2년 내외로 대단히 짧기 때문에 DMFC와 같은 휴대용 연료전지의 보급 속도가 대단히 빠를 것으로 기대된다. IT용 소형연료전지 산업은 전극촉매, 이온교환막, 분리기(separator) 등의 재료 및 부품을 공급하는 단계와 이러한 부품으로 구성된 많은 연료전지를 결합하는 스택제조 단계 그리고 이를 휴대용 전자기기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로 구별할 수 있다.

 

연료전지 산업은 기술개발에 따라 사업화가 급속하게 전개될 수 있는 기술주도형 산업분야이기 때문에 기술진입장벽이 높아 대기업이라 할지라도 단기간의 대규모투자로 양산화가 어렵고 또한 외국 선진기업으로부터 기술도입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이다. 직접메탄올연료전지(DMFC)가 현재의 배터리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더욱 가격을 낮추어야 하며 연료전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소재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DMFC 시스템의 가격절감을 위해서 고성능 저가 촉매의 개발이 필수 이며, DMFC 시스템의 효율향상 및 가격 저감을 위해 고성능의 전해질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DMFC 시스템의 가격저감 및 부피감소를 위해서 스택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기술연구원 등의 출연연구원과 삼성종합기술원과 같은 기업에서 연료전지시스템과 그 부제품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어 선진화 문턱을 넘나들 정도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저자
Masakazu Oha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13(4)
잡지명
燃料電池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5~30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