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고분자를 전해질로 이용한 바이오 연료전지
- 전문가 제언
-
○ 자연계에 풍부한 생체고분자 콜라겐에 가습을 하면 프로톤 전도물질로 되고 연료전지 전해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의 프로톤수송이 가습에 의한 워터브리지의 형성에 기인하여 워터브리지 내의 수소결합의 교환과 워터브리지 자체의 교환에 의해 실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워터브리지는 콜라겐의 펩티드 사슬 내부 및 펩티드 사슬 사이에서 카르보닐기 또는 히드록시 프롤린을 경유한 수 종류의 워터브리지가 수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비커에 탈이온수를 2000 Volt의 전원을 고급하면 양쪽 비커에서 물이 솟구친 뒤 연결되어 비커를 바깥쪽으로 끌어당기면 물이 옆으로 늘어지면서 물로 된 다리(water bridge)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절단되지 않고 수 시간 동안 지속된다. 워터브리지 현상은 100년 전에 처음 발견되었지만 이 물로 된 다리가 어떻게 중력을 거슬러 추락하지 않는지가 수수께끼였으나 최근에 유전체 장력이 물 분자를 수소 결합보다 더 강하게 서로 끌어당기게 만들어져 워터브리지의 기본 골격으로 작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 이 워터브리지는 10Å정도의 길이를 가진 상관관계가 강한 극성분자(수소결합으로 결합한 극성분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관측된 비교적 긴 유전완화가 가습에 따른 워터브리지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전율의 증가와 함께 프로톤 전도도가 상대습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워터브리지 내에서 수소화합물의 재배열 및 워터브리지 사이에서 프로톤의 이동에 의해 프로톤 수송이 실현됨을 알 수 있다.
○ 이온수송은 에너지의 생성, 변환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고 연료전지와 축전지에 꼭 필요한 성질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기원 등 대학과 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생체고분자(특히 콜라겐)를 새로운 이온수송물질이란 관점에서 파악하고 차세대에너지로서 기대되는 연료전지의 전해질로 이 생체고분자를 적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 저자
- Yasumitsu Matsu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13(4)
- 잡지명
- 燃料電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0~64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