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패턴을 활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전극의 급속 충방전 특성
- 전문가 제언
-
○ 2020년까지 배터리전기자동차 등의 황경친화형자동차가 전세계적으로 600만대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널리 채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1회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항속거리가 짧고 이의 증가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리튬이온이차전지를 탑재해야 한다. 차량무게를 증가시키고 차량가격을 높여 보급을 더욱 어렵게 한다.
○ 충/방전 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출력밀도 향상도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항속거리연장과 충전시간 단축과는 trade-off관계에 있었다.
○ 그간 전고체 리튬이온 이차전지 개발에 3차원구조의 것이 여러 연구기관에서 개발되고 있었으나 본 보고서의 K. Kanamura 팀과 Dainippon Screen Mfg는 3-D 마이크로 프린팅기술을 유기용매전해질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극에 적용하여 에너지밀도와 질량에너지밀도를 저해함이 없이 충/방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높이, 폭 및 전극간의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3차원구조 LTO양극/금속 리튬 half-cell에서의 충/방전 특성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우수한 충/방전특성을 보이는 이차전지를 실현할 수 있음을 보였고 이 3차원구조 전극은 다른 양극 활물질, 음극활물질 사용 전극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 LG화학, Samsung SDI 및 SK Innovation 등의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기업과 계열사들에게 3-D 마이크로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이러한 신개념의 전극개발은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A. Izum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256()
- 잡지명
- Journal of Power 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4~249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