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임시 고정용 다공성 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최근 전 산업분야, 특히 자동차나 전자기기 등의 조립 공정에서는 경량화나 소형화, 공정 간편화 등이 추진되는 것에 부응하여 부품의 접합기술도 볼트/너트, 리벳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에서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합으로 대체 가능한 기술로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접합기술은 적용제품의 복잡화, 외형의 감성화 그리고 중량의 경량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나 반도체와 같은 전자기기 부품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는 동안 경질의 캐리어 기판 상에 작업 단위(work unit)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조절이 가능한 다공성의 접착제 조성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발명의 접착제는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작업 단위를 분리할 때 액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신속하게 침투하여 제품에 손상이나 흔적이 없이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특허청구권에는 기존 공지의 화학제품을 이용한 배합기술이 위주로 되어 있으므로 특허권 침해의 문제는 회피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임시고정용 접착제의 제조에는 Henkel, 한국쓰리엠, 엠케미텍 등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 접착제 시장은 양분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 대기업들이 접착제 사업에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은 가운데 Henkel, Sika, BASF, 한국쓰리엠 등 다국적 기업들이 자동차, 전자 분야의 특화된 고기능성 접착제의 시장공략이 거세지고 있는 한편으로 오공, 대흥화학 등 국내 기업들은 목공, 건축 분야의 범용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접착제는 그 자체가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 각종 부자재를 접합, 조립하는 보조제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향후 접착기술의 개발은 각종 조립공정의 간편화와 최종제품의 복합기능화, 경량화 및 환경규제강화 등의 추세에 따라 장기적인 안목에서 차세대 반도체 공정테이프, 공정 단순화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 태양전지나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모듈용 접착 등 선도적인 산업의 기술공정에 적합한 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MOORE, Joh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138066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6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