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핫멜트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핫멜트 접착제는 판지상자나 종이팩(carton), 케이스 등과 같은 포장용 용기 제조공정 중의 마무리 접합공정에서 많이 사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가장 큰 장점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작업환경과 고속접착이 가능한 점이다.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조업이 가능하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접착강도가 일반적으로 낮으며, 내한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갖추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다.
○ 이 발명은 포장용 재료의 접합용도로서 넓은 온도범위에서 우수한 접합성능을 발현하는, 즉 우수한 내열성 및 내한성을 겸비한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이 핫멜트 접착제의 주성분으로는 비정질 폴리 알파올레핀(APAO), -35℃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에틸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 고분자 혼합물(A)과 작용기로 그라프트 개질된 폴리에틸렌 왁스(B)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신규 물질의 제조기술보다는 기존의 상용제품을 이용하여 배합하는 기술로서 참고하여도 특허권 침해문제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핫멜트 접착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EVA),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 주성분에 따라 다양한 산업용도로 이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부분 EVA계열 핫멜트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내 핫멜트 접착제 제조업체로는 헨켈테크놀로지, 오공본드, MCS 3사가 주요 메이커이며, 이외에 다수의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 향후 핫멜트 접착제는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열에 의한 도포작업의 최대결점인 내열성 및 내크리프성의 개량이 큰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폴리머나 점착부여 수지의 개발을 추진함과 동시에 우레탄과 같이 도포 후에 가교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열에 대해 비가역적인 접착제의 검토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기술혁신이 요구된다. 또한, 접착제의 접착이라는 기본기능 이외에 전도성 등 새로운 기능의 부여도 과제이다.
- 저자
- Henkel US IP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63758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5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