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 접착제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탄성 접착제는 접착층이 고무와 유사한 수준의 변형 능력을 지닌 접착제로서 기능성 접착제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접착소재로는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폴리술피드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변성 복합수지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는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성 접착제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 우레탄계 탄성 접착제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주)오공, 동성화학공업, 명광화학공업, 강남화성, 코오롱유화, 고려화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접착제 기업들이 생산하고 있는 접착제는 중저가 제품으로 몇 가지의 품목에 집중되어 있다. 한편, 제4 세대 접착제로 불리는 엔지니어링 접착제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순간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등의 기능성 접착제 시장은 Henkel을 비롯한 다국적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 이 발명은 비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탄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탄성 접착제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고분자로 조성한 접착제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이점이 있으며, 장기 노화조건 하에서도 안정한 크리프(creep) 성능을 발현하므로 탄성 제품용도로의 응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본다.
○ 이 특허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기존의 상용제품을 배합하는 기술로서 신규성은 그다지 보이지 않으므로 특허권 침해의 문제발생 여지는 크게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기업들도 근년에 들어와서는 탄성 접착제 등과 같은 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연구가 활발하므로 참고자료로서 활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접착제는 그 자체가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 각종 부자재를 접합, 조립하는 보조제로서 이용된다. 향후의 접착제 개발방향은 환경을 고려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적용 가능한 분야를 넓힐 수 있는 접착제의 연구, 즉 기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접합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고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Henkel US IP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30180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1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