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본초학에서 항골다공증 약제로 이용되는 단삼
- 전문가 제언
-
○ 골다공증 발병율과 골절 위험은 과거 10년 동안 크게 증가하였다. 골다공증은 세계적인 건강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여성 3명중 1명, 남성 5명중 1명은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 단삼은 전통적으로 월경불순, 월경 장애, 울혈(혈액 정체)유발 두통, 위통, 복통, 류머티즘, 관절통증후군, 궤양, 열병, 심계 항진,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전통중국의학 이론에 의하면 단삼은 간에 효능이 있고 울혈을 치유한다. ○ 단삼 추출물은 파골세포 저해와 뼈 형성 촉진효과를 나타낸다. 화학구조가 밝혀진 100개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대부분 tanshione 유도물질은 항골염색체이상 유발 효과를 나타내며, salvianolic acids와 같은 기타 물질은 전골생성에 관련이 있다. ○ 골다공증을 포함한 대부분의 질병은 다인성이며, 한 종류의 질병을 일으키고 진전시키는 여러 경로를 공동으로 공격할 필요성이 있다. 단삼은 이들 다중경로를 공격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다. 단삼과 다른 약용식물의 전망은 약용식물 추출물의 약리적 효능뿐 아니라 골형성, 항골염색체이상 유발, 항cathepsin K 조정제의 출처로서 중요하다. ○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골다공증의 치료제로 승인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사용에 따른 악골괴사 및 대퇴골 골절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최근 5년간 골다공증 약제의 사용은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삼은 중국 원산지의 다년초로서 약용자원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뿌리가 적색이기 때문에 丹蔘이라고 하며, 건위, 정장 및 부인병에 사용되고 있다. 단삼 추출물은 파골세포 저해와 골형성 촉진효과가 인정되므로 이 분야 연구도 요망된다. ○ 한편 한의학연구원 마진열 연구팀은 황련, 황백, 치자, 황금이 함유된 황련해독탕을 유산균에 넣어 흡수력을 증대시켜 골다공증 개선 효과가 4-5배 증대되는 천연물 신약후보물질 특허를 출원했으며, 제재 개발 등 후속 연구가 신속히 완료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Yubo Guo, Yu Li, Liming Xu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55()
- 잡지명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01~1416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