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 모듈형 원자로의 경제성과 전략적 측면

전문가 제언

 

세계적으로 중소형 원전에 대한 수요는 2050년까지 최대 1,000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래의 새로운 원전시장에 대비하여 1990년대부터 국산화된 원전기술을 토대로 중소형 원전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해왔고 2012년 7월에는 세계 최초로(또한 현재까지 유일하게) 중소형 원자로 SMART의 표준설계인가를 받았다.

 

SMART는 가압경수로 기술을 토대로 증기발생기와 주요 부품을 원자로용기에 내장시킨 일체형 원자로이며 경제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원자로이며 우리나라는 가까운 장래에 이를 국내에 건설하여 건설 및 운전경험을 축적하고 세계 원전시장에 수출할 계획으로 있다.

 

현재 국제사회는 혁신적인 설계개념을 도입하여 경제성과 안전성 및 핵확산저항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GEN-IV)을 개발하고 있는데 GEN-IV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개발되고 있는 것은 핵연료 증식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대폭 감축이 가능한 고속로(SFR)와 수소 생산에 가장 유리한 초고온가스로(VHTR)인데 이들 원자로도 중소형 원자로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대까지 SFR과 VHTR을 개발하여 보급하기 위해 수행되고 있는 GEN-IV 국제공동연구에 참여하면서 한편으로는 국내 자체적으로도 이들 중소형 원자로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이 자료는 중소형 원자로의 경제성과 전략적 측면의 장점들을 분석 및 요약하여 원자력 관련 정책결정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의 기술 개발을 통해 자체 개발한 원전을 수출함으로써 이미 원자력 선진국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중소형 원전기술의 개발을 통해 이 분야 향후 세계시장을 선도할 계획으로 있는데 이 자료는 우리나라의 원자력 정책결정자를 위해서도, 대중과의 원자력정보 소통을 을 위해서도 유익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저자
Giorgio Locatelli, Chris Bingham, Mauro Manci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3()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5~85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