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 튜부린 식물유래약의 분자기작 구명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국내에서도 식물유래 항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항튜부린 작용에 관한 일부 연구결과도 발표된바있고 현재도 학계 및 산업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품화된 항암제가 지금 제약회사에서 생산되지만 그들의 대부분은 원래 자연의 소스로 특히 식물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식물 또는 해양식물로부터 분리된 구조적으로 다양한 화합물이 정제되고 그리고 항암생물활성을 위해 합성되었다. 이들중 몇 가지 분자들은 미소관 세포골격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급(class)에 속하는데 미소관을 안정화시키거나 불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치료제로 사용되는 이들 항암제활성의 특성을 이해하기위해서는 튜부린과의 상호작용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소관 세포골격에 대한 항암제 효과의 분자기초를 이해하는 것이 보다 강력한 약리학적 활성과 부작용이 적은 유사체를 설계하는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잠재력이 있는 항튜부린분자의 특성이 알려졌을 때 그 구조가 보통 세 가지 선도화합물인 파크리탁셀, 빈블라스틴, 그리고 colchicine의 구조와 비교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예에서 다른 구조를 가진 분자가 같은 튜부린 결합부위에 결합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슷한 구조를 가진 많은 분자가 다른 생물학적 표적에 결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알려진 식물유래 항튜부린 약들을 보면 이떻게 미소관 표적제제를 동정하며 또 그들의 활력 특성을 생물물리학 및 생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알아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활성기작이 알려진 분자들에 대해 어떤 항암제 개발전략을 세울것이며 또 새로운 전망을 보여주는 생물표지를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P..Barbi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3()
잡지명
Phytochemist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57~169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