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 만의 박테리아 생산 생물 계면활성제의 분리와 특성
- 전문가 제언
-
○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는 생물 계면활성제의 분자는 불용성 오염물질의 생물 분해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 퇴적물과 해수 샘플은 페르시아 만에 있는 Bushehr 지역에서 수집되었다. 그 수집된 샘플에서 80가지의 다양한 군체들이 분리되었다. 그것들 중에서 14가지 박테리아 생산 계면활성제가 선택되었고 Shewanella alga, Shewanella upenei, Vibrio furnissii, Gallaecimonas pentaromativorans, Brevibacterium epidermidis, Psy- chrobacter namhaensis 및 Pseudomonas fluorescens에 속하는 중요한 7가지 분리균이 선별되었다.
○ 기름 확산에서 가장 큰 청정 지역은 G. Pentaromativorans 균주 O15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그 균주는 가장 활발하게 유화 활동을 하였고, 표면 장력을 감소시켰으며 가장 우수한 균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이란 생태계의 다양한 박테리아 생산 계면활성제가 확인되었다. 그 박테리아를 환경정화와 환경복원(예 : 오염된 토양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석유화학 폐수에 적용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생물 계면활성제는 친환경적인 계면활성제로서 세균, 효모, 곰팡이를 이용하여 생산이 가능하며 화학적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독성이기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 산업의 전반에 걸쳐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농업 분야에서 생물학적 계면활성제는 기존의 화학적 합성 살충제를 대체할 수 있다.
○ 지구상 미생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살아있으나 배양되지 않는 미생물의 분리와 배양법의 개발과 그 유전자원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선진국의 연구기관에서는 그 미생물들을 탐색하여 이미 수십 종의 유전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한국해양연구원과 일부 바이오벤처에서 그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획기적인 새로운 물질의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의 해양 생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추후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 된다.
- 저자
- Mehdi Hassanshahi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86()
- 잡지명
- Marine Pollution Bulleti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1~366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