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 훌라본 : 유망한 새로운 항암제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프로토훌라본의 중요성이나 여러 가지 약효등은 이미 널리 알려져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생화학적 특성이나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그러나 항암제로서 임상실험을 하거나 상품화된 경우는 아직 보고되지않고 있다.
○ DNA손상은 암치료과정에서 자주 일어나는 중요한 결과인데 DNA손상반응기작의 저해는 종양의 화학물질 민감성(chemosensitivity)을 높이기위한 흥미로운 새로운 목표가 되고 있다.
○ 프로토훌라본 자체는 직접적으로 DNA를 손상시키지않는다.현재 알려진 기작은 오히려 DNA 수리를 특이하게 저해(inhibition)하는 것이다.이 저해는 DNA를 손상시키는 항암제 displatin에 대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민감하게 할 수 있으며 단일 처방인 경우와 비교해서 상당히 강력한 조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이와같은 유망한 화학물질에 민감해지는 작용을 최적화하는 쪽으로 다시 연구 방향을 돌려야 할지도 모른다.
○ 프로토아피제논의 전체 합성과정의 최적화 즉 B-ring의 산화적 비방향족화(de-aromatization)후 프로토아피제논의 반합성 생산물이 아피제닌으로부터 직접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대규모 합성이 가능해지면서 이 발견은 생체내에서 프로토아피제논에 의한 깊이있는 약리학적,독성학적 연구를 가능케한 커다란 진전이었다고 생각된다.
○ 현재의 추세를 보면 모든 가능한 수준에서 개량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진 유망한 유도체를 합성하기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 구조와 활성관계에 관한 가용한 자료에 기초해서보면 대칭적이고 대체되지않은 B-ring의 p-quinol구조는 강력한 친 세포사멸적 활성을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일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A. Hunyad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3()
- 잡지명
- Phytochemist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9~77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