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규조토를 이용한 과립형의 다공체 유리 제조

전문가 제언

본고에서는 척박한 서시베리아 튜멘주의 Novo-Urengoiskoe광상에서 얻어지는 방대한 양의 규조토를 공업제품화하기 위한 연구로 규조토와 NaOH를 적당량 혼합(규조토/NaOH의 질량비가 5~7)하여 열처리하는 1단계 즉 매우 단순한 생산방법으로 폐기공의 크기가 수 마이크론~수 mm인 과립형 세포상 다공체 유리를 얻을 수 있었다.

북한지리정보 지질과 지하자원(1988년)자료에 의하면 황해북도의 산북리 규조토광상은 확보 매장량이 520만 6.250m3, 수안군 룡포리는 350만 8,750m3, 서평리는 714만 6,525m3 등이 있고 강원도에는 고산군 구렁리, 세포군 세포읍, 화양군 화양읍에도 규조토광상이 알려져 있다. 함경북도에는 길주군 남양 규조토광상은 매장량 66만톤이라고 하며 어랑군 부평, 룡연에도 광상이 있다. 양강도에도 봉화덕, 보서리, 호산리, 내포리, 간령 등의 규조토광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규조토의 퇴적분지가 영일분지, 길주~영천 지구대, 서울~원산지구대에 형성되어 영일만이 규모가 가장 크다. 규조토는 내화재 공업용수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위한 여과제 플라스틱과 제지의 충전재, 다이너마이트의 흡착제, 시멘트의 혼합재 등으로도 사용되는 등 용도가 매우 넓고 남북한 규조토 매장량도 많기 때문에 남북이 협력해나갈 수 있는 광업 분야이다.

규조토를 이용한 국내연구로는 규조토의 산처리에 의한 고순도 실리카 제조와 규조토를 혼합한 투수성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국내에서 상용되는 규조토(Cellite나 Celaton이라는 상품명)는 중국 , 미국  등에서 수입하며 최근에는 천연구충보조제 및 공기를 정화시키고 습도조절이 탁월하여 친환경 내장재 또는 규조토 도료로도 주목을 받고 있어 응용분야가 매우 넓어 본고와 같은 과립 형 다공체 유리와 같은 응용제품의 개발도 필요하다..

  


저자
K. S. Ivanov, et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71(5)
잡지명
Glass and Cera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7~161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